📘 시리즈 13편
안녕하세요! 😊
보상 패턴을 해석하고 전략을 세웠다면
이제는 실제 운동을 언제, 어떻게 구성할지가 중요해요.
운동은 단지 기능 회복을 위한 것이 아니라
‘보상이 줄고 있다는 걸 환자 스스로 인식하게 만드는 과정’이에요.
이번 글에서는 대표 보상 유형별로
✔ 운동 적용 단계 (초기–중기–후기)
✔ 실전 팁
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1. Hip Hiking (고관절 올리기 보상)
• 초기: 발끝 들어올리기, 종아리 스트레칭
• 중기: 무릎 굴곡 슬링 운동, 밴드 고관절 굴곡
• 후기: 스텝박스 보행, 보폭 늘리기 걷기
💡 팁
• 힙 하이킹이 줄면 보행 리듬이 자연스러워져요
• 스텝 시 골반 움직임 영상 기록해 비교해보세요
✅ 2. Circumduction Gait (다리 휘돌리기)
• 초기: CPM 굴곡 반복, 바닥선 걷기
• 중기: 배굴근 강화, 미러 피드백 보행
• 후기: 템포 보행, 불규칙 지면 걷기
💡 팁
• 회전 반경의 변화가 관찰 포인트
• 주간 영상 비교 시 환자 설득력도 높아요
✅ 3. Vaulting (반대발 튀어오르기)
• 초기: 종아리 마사지, 보폭 인지 훈련
• 중기: 속도 조절 걷기, 체중 분산 보행
• 후기: 보조기 세팅 조정, 양측 협응 워킹
💡 팁
• 반대측 종아리 근 긴장은 매 세션 전후 확인 필수
✅ 4. Trendelenburg Gait (골반 기울어짐)
• 초기: 중둔근 활성화, 정렬 확인 훈련
• 중기: 밴드 걷기, 한발 서기 + 체간 고정
• 후기: 수평선 피드백 보행, 트레드밀 조절 훈련
💡 팁
• 체간 기울기 vs 골반 기울기 반드시 구분해서 평가하세요
✅ 5. Forward Trunk Lean (상체 숙이기)
• 초기: 무릎 고정 스쿼트, 중심 잡기
• 중기: 백 익스텐션 + 발 디딤, 런지 착지
• 후기: 상체 직립 걷기, 상·하지 교차 협응 보행
💡 팁
• 초반에는 허벅지보다 상체 설명이 훨씬 효과적이에요
🧩 운동 설계 팁 요약
• 각 단계는
→ 가동성 회복 → 협응 → 통합 움직임 순서
• 세션당 운동은 2~3개만 유지
• 운동 직후 보행 보상 관찰 필수
• 주 1회 영상 촬영 → 비교 → 환자 피드백
🔜 다음 편 예고
다음 글에서는 지금 정리한 운동들을
하루 또는 주간 루틴으로 어떻게 구성할지 예시를 소개해드릴게요!
'알아두면 쓸모있는 내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탈모를 유발할 수 있는 일반 약물 성분 정리 (1) | 2025.04.13 |
---|---|
📘 스테로이드와 탈모, 정말 관계가 있을까요? (1) | 2025.04.13 |
보상만 억제하지 마세요 – 원인에 맞는 중재 전략 설계 (1) | 2025.04.11 |
보행 중 보상 패턴, 단순히 ‘나쁜 걸음’이 아니에요 (0) | 2025.04.11 |
O.G.I.G 시트를 임상에서 이렇게 활용해요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