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리즈 10편
안녕하세요! 😊
O.G.I.G 시트를 이해했다면
이제는 실제 환자에게 어떻게 적용하는지가 중요해요.
이번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 시트 기록
✔ 연쇄 해석
✔ 치료 계획
전체 흐름을 소개해드릴게요.
🧍 사례: 오른쪽 발목 염좌 이후 보행 불균형 (36세 남성)
• 3주 전 농구 중 오른쪽 발목 염좌
• 통증은 완화됐지만 오른쪽 뒤꿈치 착지 어려움
• 계단 오를 때 오른발 회피
• 왼쪽 다리 과사용, 보폭 비대칭, 체간 기울어짐
✅ 1. O.G.I.G 시트 기록 예시
✔ 입각기 (Stance Phase)
• 족관절: 중족부 착지, 뒤꿈치 안 닿음
• 슬관절: 정렬 안정
• 고관절: 신전 부족, 보폭 짧음
• 골반: 우측 상승 유지
• 체간: 좌측 기울어짐, 체중 회피
✔ 유각기 (Swing Phase)
• 족관절: 발끝 처짐, dorsiflexion 제한
• 고관절: 굴곡 지연, 전진 속도 느림
✅ 2. 해석: 관찰에서 원인 흐름까지
• 중심 문제: 우측 발목 배굴 제한
• 착지 불안 → 체중 왼쪽 이동 → 골반 기울기 발생
• 고관절 신전 감소 + 체간 기울어짐
• 전반적 좌우 불균형 보행 패턴으로 연결
✅ 3. 치료 계획 흐름 (5주 기준)
🗓 1~2주차
• 발목 가동성 운동, 테이핑
• 서서 체중 싣기 훈련
🗓 3~4주차
• 슬로우 워킹, 발뒤꿈치 착지 유도
• 좌우 균형 훈련, 고관절 신전 운동
🗓 5주차 이후
• 폼패드 보행, BOSU 균형 훈련
• 종아리-슬근군 협응 강화
• O.G.I.G 시트 주 1회 재기록
✅ 4. 환자 반응 & 재평가
• 3주차부터 보폭 증가
• 뒤꿈치 착지 80% 회복
• 체간 기울기 줄고, 골반 높이 균형 회복
• 시트를 통한 변화 시각화 → 환자 만족도 ↑
O.G.I.G 시트는 단순 체크지가 아니에요.
관찰 → 해석 → 전략 설정 → 변화 추적까지 연결되는
임상 분석 도구로 활용해야 해요.
🔜 다음 편 예고
다음 글에서는 보행 중 자주 나타나는 보상 패턴을
유형별로 나누고, 해부학적으로 해석해드릴게요!
'알아두면 쓸모있는 내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보상만 억제하지 마세요 – 원인에 맞는 중재 전략 설계 (1) | 2025.04.11 |
---|---|
보행 중 보상 패턴, 단순히 ‘나쁜 걸음’이 아니에요 (0) | 2025.04.11 |
O.G.I.G 시트를 제대로 해석하는 방법 (0) | 2025.04.10 |
보행을 관찰할 때 꼭 확인해야 할 5가지 포인트 (0) | 2025.04.10 |
보행 중 관절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 입각기와 유각기의 협업 구조 (0)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