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이번 편에서는 ‘호흡’이라는 평범한 동작이
어떻게 ‘코어 근육’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살펴볼 거예요.
숨 쉬는 방식 하나만 바꿔도
운동 능력과 자세에 큰 변화가 생긴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호흡은 단순한 생명유지가 아니에요
우리가 무심코 하는 ‘호흡’은
코어 안정성과 깊은 관계가 있어요.
복부 코어 근육 중 가장 핵심인 복횡근은
숨을 들이쉴 때와 내쉴 때 모두 관여해요.
특히, 복압을 조절하며 척추를 지지해주는 역할을 하죠.
호흡과 연결된 주요 코어 구조
1. 횡격막(diaphragm)
• 들숨 시 아래로 내려가며 복부를 확장
2. 복횡근(transverse abdominis)
• 내쉴 때 복부를 수축시켜 안정화
3. 골반저근(pelvic floor)
• 복압의 아래쪽을 지지해줌
4. 다열근(multifidus)
• 척추 옆에서 미세한 움직임 제어
이 네 가지 구조는
서로 타이밍을 맞추며 작동해야 ‘정상적인 코어 기능’이 유지돼요.
코어 활성화의 핵심은 ‘복압 유지’
복압이란 말 그대로 배 속의 압력이에요.
복압이 잘 유지되면
척추가 단단히 고정돼서
무거운 물건을 들어도 허리에 부담이 덜 가요.
하지만 호흡이 얕고 가슴으로만 이루어지면
복압이 떨어지고, 코어 기능도 약해져요.
복압을 깨우는 호흡 루틴 3가지
1. 코로 깊게 들이쉬고 복부를 확장해요
• 손을 배 위에 얹고, 숨을 들이쉴 때 배가 올라오는지 느껴보세요.
• 횡격막이 아래로 내려가면서 복부가 부풀어야 해요.
2. 숨을 내쉴 때 배꼽을 살짝 당겨요
• 복횡근을 조이듯 배꼽을 등 쪽으로 끌어당겨요.
• 숨을 끝까지 내쉬며 복압을 유지해보세요.
3. 리듬 있는 호흡 유지하며 움직여요
• 걷거나 가벼운 스트레칭 중에도
• 들숨에는 확장, 날숨에는 수축을 의식해요.
느리게, 깊게, 의식적으로
호흡은 빠르거나 세게 할 필요 없어요.
중요한 건 깊고 천천히, 몸 안의 움직임을 느끼는 것이에요.
이 연습이 쌓이면
복부가 자연스럽게 조여지고
운동 중에도 훨씬 더 안정감을 느끼게 돼요.
다음 편에서는 고관절과 코어의 연결성으로 넘어가요.
움직임의 파워가 시작되는 지점, 꼭 다뤄야 할 주제예요 😊
'알아두면 쓸모있는 내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어 퍼포먼스 완전정복] 12편 - 흉추 움직임 회복 & 등 안정화 루틴 (0) | 2025.04.02 |
---|---|
[코어 퍼포먼스 완전정복] 11편 - 고관절 안정화 & 움직임 연동 (1) | 2025.04.01 |
[코어 퍼포먼스 완전정복] 9편 - 어깨를 지키는 안정화 루틴 (1) | 2025.04.01 |
[코어 퍼포먼스 완전정복] 8편 - 복부 코어를 깨우는 활성화 루틴 (0) | 2025.03.31 |
[코어 퍼포먼스 완전정복] 7편 - 골반 중심을 잡아주는 안정화 운동 (0) | 2025.03.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