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
목이 아프거나, 어깨나 팔로 저림이 퍼질 때
가장 먼저 해야 할 건 뭘까요? 바로 경추 정형검사예요.
경추는 신경근이 직접 지나가는 부위라서, 단순한 뻐근함부터 디스크, 협착, 신경포착 증상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어요.
오늘은 그런 증상을 평가할 수 있는 대표적인 검사들을 소개할게요!
1. 경추 검사, 왜 중요할까?
경추는 운동 범위가 넓고, 구조적으로도 예민한 부위예요.
디스크 탈출증, 협착, 불안정성, 신경근 병변이 흔하게 발생하고요.
특히 방사통(목 → 어깨 → 팔 → 손가락으로 퍼지는 저림)은 경추 신경근 압박의 대표 증상이에요.
그래서 이런 증상이 있다면 반드시 정형검사로 패턴을 먼저 확인하는 게 중요해요.
2. 스펄링 검사 (Spurling’s Test)
디스크 병변이나 신경근 압박이 의심될 때 가장 많이 쓰는 검사예요.
📌 방법
• 환자가 앉은 자세에서 고개를 약간 뒤로 젖히고 아픈 쪽으로 기울임
• 검사자가 머리를 아래로 눌러줌 (축압)
📌 양성 소견
• 통증이 목에서 팔까지 방사되면 양성
• 일시적인 저림도 의미 있을 수 있어요
💡 너무 세게 누르지 말고, 천천히 압박해야 해요!
3. 지배신경근 감별에 유용한 – 신경학적 검사들
1) 근력 검사 (Motor Test)
• C5: 어깨 외전 (델토이드)
• C6: 팔꿈치 굴곡, 손목 신전
• C7: 팔꿈치 신전, 손목 굴곡
• C8: 엄지와 새끼손가락 모으기
• T1: 손가락 벌리기
👉 근력 약화는 신경 압박 가능성을 의미해요.
2) 감각 검사 (Dermatome)
• C5: 어깨 바깥쪽
• C6: 엄지
• C7: 중지
• C8: 새끼손가락
• T1: 팔 안쪽
👉 저림이나 감각 이상이 특정 지배 부위에만 나타나면 매우 중요한 단서예요!
3) 반사 검사 (Deep Tendon Reflexes)
• C5: 이두근 반사
• C6: 완요근 반사
• C7: 삼두근 반사
반사가 저하되면 신경근 눌림을 의심할 수 있고, 반사가 항진되면 중추 병변 가능성도 고려해야 해요.
4. 추가 검사 – 조금 더 세밀하게 평가할 때
맥켄지 신전검사
• 고개를 뒤로 젖히고 유지 → 증상이 팔로 퍼지면 디스크 가능성
잭슨 압박 검사
• 스펄링과 비슷하지만 측굴 후 회전 + 축압
• 더 예민하게 방사통을 유발
파지압박검사 (Shoulder Abduction Test)
• 아픈 팔을 머리 위로 올렸을 때 통증이 줄어들면 양성
• 신경근이 인장됐을 때 통증 완화는 중요한 신호예요
5. 검사 시 유의사항
✔ 검사 전 기저 질환 유무 확인하기 (협착, 골다공증, 외상력 등)
✔ 갑작스런 움직임은 피하고, 서서히 시행
✔ 반드시 환자 증상과 일치하는지 비교
✔ 신경학적 검사와 함께 조합해야 정확도가 높아요
정리하며
경추 검사는 단순히 목만 보는 게 아니라,
팔, 손가락까지 퍼지는 신경 증상을 해석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해요.
스펄링 검사, 신경학적 테스트, 반사 검사 등을 함께 적용하면 훨씬 정확한 평가가 가능하고요,
비수술 치료 방향 설정에도 큰 도움이 된답니다.
👉 다음 편에서는 경추 관절 및 구조적 병변 평가에 집중해서 알려드릴게요! 😊
'알아두면 쓸모있는 병원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팔 저림의 진짜 원인? – 흉곽출구증후군 검사 완전 정리 (2) | 2025.03.23 |
---|---|
목이 아플 땐 디스크? 관절? – 경추 구조 검사 완전 정리 (1) | 2025.03.23 |
정형검사란 무엇인가? – 통증을 해석하는 첫 번째 열쇠 (0) | 2025.03.22 |
도수치료 vs 카이로프랙틱, 뭐가 다를까? 효과 비교! (0) | 2025.03.18 |
국내 vs 해외 물리치료사, 역할과 대우 차이는 얼마나 클까? (2)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