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오늘은 조금은 전문적인 이야기를
쉽게 풀어서 이야기해보려고 하는 시간이에요!
바로 건강을 위해서 운동을 하는 여러분을 위해서
근육의 기본적인 상식을 이야기해보려고 해요!!
어려운 부분이나 이해하기 쉽지 않은 부분
고등학교 때 배운 ATP의 생성과 소모 등등 이런 부분은 빼고
큼직한 이야기들 위주로 이야기를 진행해 보도록 할게요.
우선 근육을 키우는 목적이 무엇인가요?
대부분 사람들에게 물어보면,
'건강한 몸을 가지고 싶어서' 운동을 한다고 하는데요.
익히 알고 있는 헬스(Health)또한 건강이란 의미인 영어단어예요.
그럼, 건강이란 무엇일까요?
WHO(국제보건기구)에서는 건강을 이렇게 정의해요.
'Health' is a state of complete physical,
mental and social well-being and
not merely the absence of disease or infirmity.
번역하면
건강은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으로 안녕하고
질병이나 신체적 병약함이 없는 상태.
이렇게 건강을 정의하고 있는데요.
최근은 이런 개념을 많이 알게 되어 예전처럼 스테로이드를 과다 복용하고
직접 근육에 주입해서 근육의 크기를 키우는 단순한 운동에서
상호 간의 밸런스를 맞추며 보기 좋게 근육을 단련하는 형식으로 변화되고 있어요.
자, 그럼 근육은 어떻게 구성되는지부터 살펴 보도록할게요.
근육은 여러 다발의 섬유로 이루어져 있어요.
이런 섬유 다발들이 뭉쳐져서 근육을 이루게 되는데요.
근육은 액틴과 미오신이라는 구조물들이 붙는 것으로 수축과 이완작용이 일어나요.
이렇게 수축 이완이 반복되게 되면 일련의 미세한 상처들이 생기게 되고
회복되는 과정에서 더 큰 근섬유를 형성하게 되어서 근육이 더 커지게 되어요.
근육은 이렇게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근육의 생김새 별로 운동하는 방법이 조금씩 차이 나게 되며,
근육운동 방법도 차이가 나게 돼요.
또한, 근육은 적근과 백근으로 나뉘는데요.
모세혈관의 분포도가 높아서 지속적인 힘을 낼수 있는 적근과
상대적으로 모세혈관의 분포는 적지만, 순간적으로 강한 힘을 낼수 있는 백근으로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 있어요.
*물론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여러가지 분류로 나눌 수 있어요.
극단적인 예를 들자면
오랜시간 일정한 속도로 뛰어야 하는 마라톤과
순식간에 모든힘을 다 소진해서 최고의 기록을 만드는 단거리육상으로
분류가 가능해요.
선수로 살펴보면,
지상에서 가장 빠른 남자 '우사인볼트'
한국 마라톤의 전설 '이봉주' 선수가 대표적인데요.
모두가 아시다 시피 두분의 외형적은 극단적으로 다른데요.
우사인볼트가 큰 근육과 우람한 몸매를 가지고 있는 반면,
이봉주 선수는 정말 마른 체형을 유지하고 있어요.
이는 위에서 언급한 달리기의 차이때문이에요.
지속적인 힘을 써야 하는 이봉주선수는 적근이 발달되어있고,
순간적인 스피드를 내야하는 우사인볼트선수는 백근이 발달해 있기 때문에
발달된 근육이 다를 수 밖에 없어져요.
호흡도 어느정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데요.
단거리의 경우 숨을 참고 무산소 운동을 하게되고,
마라톤은 지속적인 호흡을 통해 근육의 수축과 이완을 하기 때문에
발달되는 근육이 전혀 다르게 되는 원인이 되어요.
대부분 살을 빼고 싶다면 유산소 운동을 하라고 말하고,
근육을 키우고 싶으면 웨이트를 하라고 말하는데요.
위의 글처럼 한가지 운동이 어느정도의 효과를 줄 수는 있어요.
하지만 근육의 밸런스가 무너지면 통증이 나타 날 수 있기때문에
골고루 운동을 해주는게 무척 중요해요.
헬스의 개념이 근육을 키우는 것이 아닌 건강을 지키는 것으로
변한 만큼 단순한 큰육 크기로 건강을 자랑하는 것이 아닌
통증이 없는 상태가 가장 좋은 운동 방법일 것이라 생각해요.
근육에 대해서 정말 겉핥기식으로 간단하게 알아봤는데요.
근육의 에너지 소비와 그로 인한 피로 물질 생성등
좀더 깊고 세밀한 내용은 기회가 된다면
자세히 이야기 해보도록 할게요.
오늘 이야기는 여기까지예요!!
다음 이야기도 더 좋은 내용으로 돌아오도록 할게요!!
감사합니다!!
'알아두면 쓸모있는 내몸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상생활 속 물리치료] 장시간 앉아있으면 생기는 몸의 변화 Part-3. 척추(Spine) (1) | 2025.01.22 |
---|---|
[일상생활 속 물리치료] 장시간 앉아있으면 생기는 몸의 변화 Part-2. 목(Neck) (1) | 2025.01.20 |
[일상생활 속 물리치료] 장시간 앉아있으면 생기는 몸의 변화 Part-1 (머리/Head) (0) | 2025.01.16 |
WHY?? 관절통 이유가 뭔가요? 날씨에 따라 달라지는 관절 컨디션 - feat. 물리치료사 (0) | 2020.02.15 |
스포츠 테이핑 어떻게 해야하나요? 운동중 부상방지 테이핑 방법 훑어보기 - feat. 물리치료사 (0) | 2020.02.12 |